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서울역 지하철 시설 총정리(+출구, 물품보관함위치, 화장실위치, 환승정보 등)

by hchu 2025. 6. 15.
반응형

서울역 시설 안내 – 출구, 화장실, 물품보관함, 환승 정보 총정리

서울역은 수도권 교통의 중심지이자, 국내 최대 규모의 환승역 중 하나입니다. 지하철, KTX, 공항철도, 경의중앙선 등 다양한 노선이 통합되어 있어 이용객 수가 매우 많은 역이며, 관광객과 직장인 모두에게 중요한 거점입니다.

이 글에서는 서울역의 출구, 화장실, 사물함, 환승 동선을 중심으로, 처음 방문하거나 여행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드립니다.

1. 서울역 기본 정보

  • 지하철 노선: 1호선, 4호선, 공항철도, 경의중앙선
  • 고속철도(KTX), 일반열차(ITX, 새마을, 무궁화호) 운행
  • 주소: 서울특별시 중구 한강대로 405
  • 운영 시간: 첫차 5시 30분 / 막차 00시 30분 (노선별 상이)

2. 출구 정보

서울역은 구조가 매우 넓고 복합적입니다. 지하철 출구와 철도역 출구가 분리되어 있어 목적지에 따라 정확히 이용해야 합니다.

  • 1번 출구: 남대문시장, 숭례문 방향
  • 2번 출구: 중구청, 회현역 방면 도보 연결
  • 3번 출구: 서울스퀘어, 서울역 버스환승센터 (KTX 역사 연결)
  • 4번 출구: 롯데마트, 서울역 민자역사 연결
  • 15번 출구: 공항철도 타는 곳 및 경의중앙선 방면
  • 서울역 광장 출입구: KTX, ITX 등 일반열차 이용 시

TIP: 지하철 1·4호선 이용자는 지하 출구(1~4번)를, KTX·공항철도 이용자는 민자역사 출구 또는 15번 출구를 주로 이용합니다.

3. 화장실 위치

서울역은 여러 개의 화장실이 있으며, 각각의 위치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지하철 1호선 대합실: 2번 출구 방향
  • 4호선 승강장 중간 계단 위: 상행·하행 공용
  • KTX 역사(지상 2층): 입구 왼쪽 편
  • 서울역 민자역사 지하 1층: 롯데마트, 푸드코트 인근
  • 공항철도 역사 내부: 개찰구 진입 전·후 모두 있음

이용 팁: 가장 넓고 깨끗한 곳은 KTX 역사 2층과 민자역사 지하 1층 화장실입니다.

4. 사물함(물품보관함) 위치

서울역은 많은 여행객과 외국인이 이용하는 만큼, 사물함이 여러 구역에 설치되어 있습니다.

  • 지하철 1·4호선 대합실: 개찰구 외부, 2번 출구 방향
  • KTX 역사 2층: 에스컬레이터 뒤편
  • 서울역 민자역사 지하 1층: 롯데마트 입구 및 푸드코트 중앙
  • 공항철도 역사 개찰구 앞: 인천공항 방향 승강장 진입 전

요금 안내 (2025년 기준):

  • 소형: 2,000원 (4시간)
  • 중형: 3,000원 (4시간)
  • 대형: 5,000원 (4시간)

카드 결제 및 모바일 앱(LockerKey 등)으로 QR 인증도 가능합니다.

5. 환승 정보

서울역은 총 4개 노선이 연결된 초대형 환승역입니다.

  • 1호선 ⇄ 4호선: 지하 연결통로 (약 2~4분 소요)
  • 1호선 ⇄ KTX/일반열차: 지상 역사 2층으로 에스컬레이터 이동
  • 4호선 ⇄ 공항철도: 15번 출구 방면 통로로 연결 (에스컬레이터 필수)
  • 공항철도 ⇄ 경의중앙선: 동일 플랫폼 환승 가능 (개찰구 밖 이동 없음)

주의: 환승 통로는 복잡할 수 있으므로, 표지판을 꼭 따라 이동하세요.

6. 기타 편의시설

  • 무인 발권기: KTX 역사 1층 및 2층, 공항철도 플랫폼 부근
  • ATM: 민자역사 및 역사 내 주요 지점
  • 카페·편의점: 스타벅스, 투썸플레이스, GS25, CU 등 다수 입점
  • 엘리베이터/에스컬레이터: 모든 노선과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장애인 접근성 우수
  • 휴게 공간: 민자역사 내 의자, 테이블 다수 배치

맺음말

서울역은 대한민국의 대표 교통 허브이자 복합환승 공간입니다. 시설이 방대해 처음 방문하는 분들에게는 다소 복잡할 수 있지만, 위 정보를 참고하면 목적지까지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

특히 KTX, 공항철도, 사물함 등 장거리 여행 또는 출장이 많으신 분들은 미리 동선과 위치를 숙지하시면 시간과 체력을 아낄 수 있습니다.

※ 본 콘텐츠는 2025년 6월 기준 서울교통공사 및 코레일, 공항철도 공식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.

반응형